해변에 사는 사람에겐 바다가 보이지 않는다.그러나 어느 저녁, 문득 바라다본 수평선에 저녁 달이 뜨는 순간, 아∼ 그때서야 아름 다운 바다의 신비에 취하게 될 것이다.

세상은 내가 느끼는 것만이 보이고, 또 보이는 것만이 존재한다.우린 너무나 많은 것들을 그냥 지나치고 있다.느끼질 못하고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늘이, 별이, 저녁 노을이, 날마다 저리도 찬란히 열려 있는데도 우리는 그냥 지나쳐버린다.대신 우린 너무 슬픈 것들만 보며 살고 있다.너무 언짢은 것들만 보며 살고 있다.

그리고 속이 상하다 못해 좌절하고 자포자기까지 한다.희망도 없는 그저 캄캄한 날들만 지켜보고 있다.하지만 세상이 원래 어려 운 것은 아니다.어렵게 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고 물론 쉬운 것도 아니다.우리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뿐이다.반 컵의 물은 반이 빈 듯 보이기도 하고, 반이 찬 듯 보이기도 한다.비었다고 울든지, 차 있다고 웃든지, 그건 자신의 자유요, 책임이다.

다만 세상은 내가 보는 것만이 존재하고, 또 보는 대로 있다는 사실만은 명심해야겠다.내가 보고 싶은 대로 존재하는 세상이 그래서 좋은 것이다.

비바람 치는 캄캄한 날에도 저 시커먼 먹구름장을 꿰뚫어볼 수 있는 여유의 눈이 있다면, 그 위엔 찬란한 태양이 빛나는 평화스런 나라가 보일 것이다.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 다비치http://kko.to/CGAwZrxXW


🤔PEST동향🤔 What's happening?🤔

LGU+, AI·IoT 접목한 '미래형 식물공장' 만든다 http://newsum.zum.com/articles/61571718

KT 인공지능 코딩 교육 활성화 앞장 http://newsum.zum.com/articles/61589175

광양국가산단 명당3지구 분양 '박차' http://newsum.zum.com/articles/61591133

규제 칼바람에도 경기·인천 분양 '눈길' http://newsum.zum.com/articles/61585698

[하반기 분양]재건축 분양 초읽기, 상한제 운명 갈린 곳은? http://newsum.zum.com/articles/61585066

수원 스마트폴리스 '수원역 한양아이클래스 퍼스트' 분양 http://newsum.zum.com/articles/61580541

구례군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사업’ 선정 http://newsum.zum.com/articles/61593439

국토교통부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 사업 의정부시 선정. http://newsum.zum.com/articles/61579608

'콘텐츠 사용료' 갈등 커지는 미디어시장 http://newsum.zum.com/articles/61589296

코로나19, 콘텐츠 산업의 방향은? http://newsum.zum.com/articles/61586266

카카오콘·카카오페이·카카오게임에 블록체인 들었다 http://newsum.zum.com/articles/61587938

지하철역사 내 ‘스마트팜’, AI와 블록체인 만나 진화한다 http://newsum.zum.com/articles/61577485

상반기 네이버 결제금액 12.5조..역대 최대 (출처 : 이데일리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FPawnrDL

와디즈가 픽한 스타트업, '라인프렌즈' 캐릭터 쓸 수 있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GT7KnqsJ

넷플릭스發 콘텐츠생태계 파장… `음악 저작권료` 갈등으로 확산 (출처 : 디지털타임스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GomtDEmj

‘0원폰’ 진실 깨달은 밀레니얼 소비자들, 온라인몰로 간다 (출처 : 동아일보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G9bZrgPV

[AI 사피엔스 시대]데이터 부족 극복 기반 '전이학습' (출처 : 전자신문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c7sntAX

[기자수첩]휴대폰 유통 뉴노멀 기대한다 (출처 : 전자신문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5loB7cpj

현대HCN 본입찰 참여 3사, 주식매매계약 서류 제출 (출처 : 전자신문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OfqxDlW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번엔 미래차…현대차 방문 (출처 : 디지털데일리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FHZRlWtj

'모바일 최강자' 카카오, 이동통신 시장까지…속도내는 '카카오폰 세상' (출처 : 뉴스1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5k39IS18

[단독]이라크 韓건설현장, 40명 코로나 확진·2명 사망…집단감염 번져 (출처 : 뉴스1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GxsakBN8

대규모 택지 조성 기대감↑…추가 조성 후보지는? (출처 : KBS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GZMQZcci

"태릉도 그린벨트" "집값 떨어지나" 택지 논란 계속 (출처 : SBS | 네이버 뉴스) http://naver.me/xqyP3RRy


🎯2020년 7월 21일 최신 마케팅 뉴스🎯

#1 고객들의 셈법: 곱셈의 법칙
마케팅에도 숫자가 많이 활용됩니다. 숫자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고 또 어떤 숫자는 쉽게 기억할 수 있어 상품을 판매하는데 큰 효력을 발휘합니다. 숫자마케팅은 숫자를 통해 소비자의 주의나 호감, 또는 착시를 이끌어내 매출을 올리려는 방식인데 가격을 29,900원 등과 같이 설정해서 소비자의 주머니가 쉬이 열리도록 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p3m

#2 스타벅스·코카콜라…소셜미디어에 등 돌리는 글로벌 기업들
스타벅스 코카콜라 유니레버 등 글로벌 기업들이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광고 중단을 선언하면서 소셜미디어 기업이 위기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가짜뉴스’와 혐오 콘텐츠 등을 방관하면서 플랫폼의 불신을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젊은 층에 효과적인 디지털 광고 플랫폼이지만 업체들이 부적절한 콘텐츠를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p3n

#3 광고에 부는 ‘블랙의 바람’.. ‘고급’ 브랜드 이미지 강조
브랜드 이미지가 핵심인 기업들이 좀처럼 쓰지 않던 색상 '블랙'을 과감하게 이미지 광고에 반영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는데 관계자는 "식품과 화장품 광고 등은 시청자들의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서 화려한 색채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블랙 컬러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p3p

#4 유튜브도 독이 되나…PPL 감추고 속인 스타들
연예인들이 팬들과 소통의 창구로 택한 유튜브로 인해 때아닌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일상과 함께 '내돈내산(내 돈을 주고 내가 직접 산 물건)' 영상으로 실제 착용하는 아이템을 공개했지만, 이 모든 것이 협찬을 대가로 한 간접광고(PPL)로 드러나면서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관계자는 "연예인들의 꼼수나 거짓말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PPL의 경우 정확하게 표기를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nps

#5 "육포가 왜 팬티에서 나와?"…유통가 '엉뚱한 마케팅 실험'
기업들이 '이색 협업'에 나선 까닭은 제각각입니다. 인기 상품끼리 시너지를 노리거나, '잇템'에 기대 매출 반등에 도전하려는 목적인데 예상치 못한 '신선함'으로 승부하려는 의도도 있습니다.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상식을 깨는 이색 협업 상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며 "기업은 신선한 마케팅으로 매출 반등을 꾀하고, 소비자는 새로운 상품을 접하는 윈윈 전략"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p3q

#6 매장 무인화...이통사 언택트 마케팅시대
코로나19 사태로 이동통신서비스와 스마트폰 매장 방문객이 뚝 끊기자 관련 업계가 혁신전략으로 내수진작의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언택트 방식의 마케팅 코드를 영업 전면에 내세워 고객 편의와 매출 증대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섰습니다. 매장의 무인화보다는 키오스크 도입을 통한 매장 자동화로 직원 응대를 원하는 고객과 언택트식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 모두를 만족시키려는 전략입니다.
(마케팅에듀 제공)관련정보 바로가기 : https://c11.kr/gp3s



🍈❄2020년 7월 21일 1분 마케팅❄🍈

1. 네이버 모바일앱 개편한다… 5개 카테고리로 재배열
출처 :http://reurl.kr/2D092098TE
네이버가 모바일앱을 8월 중순 새롭게 업데이트한다. 테마 카테고리에서 사용자는 '건강' '게임' '경제M' '법률' 등 기존 주제판들을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네이버는 "네이버앱은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크고 작은 개선의 업데이트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며 "이번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니즈를 보다 명확하게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2. ‘아마존·오카도’, 물류비 비중 높아지면 ‘위험’
출처 : http://reurl.kr/2D092095AA
세계적인 유통 기업들도 전체 비용 중 물류비 비중이 높아지면 수익률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와 주목된다. 이에 따라 국내 유통기업들 역시 소비자 욕구 수준에 맞춰 물류관련 투자 및 운영비 비중을 높일 경우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안 마련에 나서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지적은 시장이 빠르게 이커머스 시장으로 전환되면서 가장 먼저 급변하고 있는 연관 산업인 물류부문 투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선도 유통기업들의 물류비 비중이 여타 업종 물류비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점에서 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3. 플랫폼의 힘...e커머스 메기된 네이버쇼핑
출처 : http://reurl.kr/2D092096NF
네이버쇼핑이 국내 유통시장 판을 흔들고 있다. 모바일 시장조사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네이버의 국내 온라인 쇼핑 결제액은 20조9249억원으로 쿠팡, 이베이코리아 등 주요 e커머스 업체 실적을 뛰어넘었다. 스마트스토어는 개인이 온라인 스토어 개설과 상품판매를 시작할 수 있는 네이버쇼핑 플랫폼이다.

4. 온택트 문화 확산, 온라인 커머스 업계에서 살아남으려면
출처 : http://reurl.kr/2D09208CLC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람들의 소비문화는 극명히 변화했다. 고도몰5PRO 등 인터넷 쇼핑몰 제작을 비롯 기업 홈페이지 전문 제작 기업인 카이먼의 관계자는 "최근 온라인 커머스 업계가 호황을 누리면서 온라인 쇼핑 플랫폼 개설이나 유지·보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라며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이고 제품을 부각해주는 쇼핑몰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5. 네이버 라이브커머스 8월부터 3% 수수료, '수익화' 시동
출처 : http://reurl.kr/2D09209EBK
네이버가 8월부터 '라이브커머스'에서 수수료를 받는다. 네이버는 상반기까지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32만 판매자가 모두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 왔다. e커머스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이번 수수료 과금을 전후해 스마트스토어에 라이브커머스를 적극 지원할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유료 서비스인 만큼 라이브커머스로 판매자 수익이 늘어나도록 전면 배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6. 중국 상반기 최대 온라인 행사 ‘6.18 쇼핑 페스티벌’ 살펴보기
출처 : http://reurl.kr/2D09209BDJ
중국에서 가장 큰 온라인 쇼핑 축제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6.18 쇼핑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크게 위축된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해 올해 6.18 페스티벌은 기존에 비해 더욱 많은 소비 쿠폰 및 보조금 지급 그리고 대규모 할인 행사와 행사기간 추가연장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기 충분했다. 또한 이번 행사에는 여러 브랜드가 대거 참여했으며, 플랫폼마다 사상 최고의 매출액을 기록하는 등 소비력 회복에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2020년 7월 21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1. 네이버 모바일앱 개편, 사용자 편의성 강화

네이버가 모바일앱을 새롭게 업데이트한다.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엔터·뭐볼까·투데이·쇼핑·테마 등 5개 카테고리를 분류하면서 기존보다 직관적인 형태로 바꾼다는 취지다.

2. 인플루언서 영향력에 올라탄 패션·뷰티업계

인플루언서와 협업하는 패션·뷰티 대기업이 늘고 있다.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빌리는 전략이다. 핸드백, 의류, 화장품, 뷰티 기기 등 협업 제품군도 다양해지고 있다.

3. 네이버 뉴스 검색, 기사 제목보다 작성 언론사 더 강조한다

네이버가 모바일 뉴스 검색 화면을 개편한다. 앞으로 네이버 뉴스 검색 화면에서 기사 제목보다 어느 언론사가 작성한 기사인지가 더 강조돼 노출된다.

4. 배달앱 띵동 "소상공인 입점비·광고비 평생 무료"

'띵동'의 입점비와 광고비를 평생 받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자체 개발한 '스마트추천' 솔루션으로 입점업체를 노출해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설명이다.

5. 광고에 부는 '블랙의 바람'... '고급' 브랜드 이미지 강조

브랜드 이미지가 핵심인 기업들이 좀처럼 쓰지 않던 색상 '블랙'을 과감하게 이미지 광고에 반영해 눈길을 끌고 있다.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6. 아마존, 분당 2500만원씩 광고비 13조원 쏟아부어

애드에이지가 발간한 '2020 주요 국가 광고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마존은 한화 약 13조2550억원(분 당 약 2530만원)의 광고비를 지출했다. 애드에이지는 다음 보고서에서 아마존이 미국 최대 광고주인 프록터앤드갬블(P&G)를 제치고 미국 내 1위 광고주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했다.

7. 최대 광고주 월트디즈니마저 페이스북 광고 '보이콧' 동참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월트디즈니는 페이스북 및 인스타그램에 광고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패스매틱스에 따르면 월트디즈니는 페이스북의 올 상반기 미국 광고주 중 가장 많은 광고비 지출을 한 기업이다.



🍍👏2020년 7월 21일 인사이트👏🍍

성과와 사람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무엇을 고르시겠습니까? 둘 다 잡을 수는 없을까요? 리더로 살기를 작심하신 분께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성과를 못 내는 리더들 중 60%가 5가지 덫 중 하나에 빠져 있다고 합니다. 5가지의 덫의 공통점은 '조급함'인 것 같습니다.
https://m.blog.naver.com/businessinsight/222033725487

개그우먼들이 따르는 개그우먼 송은이의 리더십 유형은 '연민의 리더십'... 연민의 기본은 '상대방에게 진실된 관심을 갖는 것'! 그럴 준비하고 출근하셨죠?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794369&memberNo=5184&navigationType=push



🍀공부하는 의사들이 알려주는"Glycomics"🍀생명의 8코드

SCIENCE저널 Who own's Glycobiology?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18/5851/734

TED-X 당생물힉 강의 https://youtu.be/g7gJk73Crg8

NATURE 저널 Glycobiology: Sweet success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547/n7661/full/nj7661-127a.html

Posted by 로밍쑨
,